문자 형
- 문자 형에 대해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한다.
format() 함수의 사용
- {}안에 숫자가 없으면 순서대로 format 안의 변수들이 순서대로 들어가게 된다.
- 또는 {}안에 숫자가 있으면 인덱스를 나타내고 format안에 인덱스에 맞춰 들어가게 된다.
(format의 인덱스 0은 2를 나타내고 인덱스 1은 3을 나타내서 다음과 같이 된다.)
인덱싱과 슬라이싱
- 인덱싱이란? 각 칸에 숫자를 붙여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.
- 슬라이싱이란? 칸들 중 일부를 짜르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.
- 슬라이싱을 할 때는 시작점의 인덱스에서 부터 끝나는 칸의 바로 다음칸의 인덱스 까지를 표시해 주면 된다.
- 슬라이싱을 할 때 앞에 칸, 뒤의 칸을 비워 놓으면 시작점부터, 마지막까지를 의미한다.
end
- print의 끝이 기본적으로 개행(\n)으로 되어있지만 변경이 가능하다.
'휴지통 > IT 스크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(Python) 리스트(sort, count, len) (0) | 2018.06.01 |
---|---|
인공지능이 인공지능을 만드는 AutoML (0) | 2018.06.01 |
파이썬(Python)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형 변환 (0) | 2018.05.31 |
파이썬(Python) 자료형(숫자형, 문자형, 불린) (0) | 2018.05.31 |
파이썬 변수, 변수와 대입의 차이, 리스트 복사 (0) | 2018.05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