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19

파이썬(Python) 리스트(sort, count, len) 리스트 값 변경이 가능하다. -> mutableappend를 통해 추가, del을 통해 삭제가 가능하다.인덱싱과 슬라이싱은 이전 자료를 참고 -> 파이썬(Python) 문자열(format 함수, 인덱싱, 슬라이싱) sort, count 함수 및 len 함수 사용 sort를 통해 사전순으로 정렬을 할 수 있다.count를 통해 안에 요소의 수를 셀 수 있다.len을 통해 리스트 전체 크기를 알 수 있다. 2018. 6. 1.
파이썬(Python) 문자열(format 함수, 인덱싱, 슬라이싱) 문자 형문자 형에 대해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알고 있어야 한다.[프로그래밍 언어/파이썬(Python)] - 파이썬(Python) 자료형(숫자형, 문자형, 불린) format() 함수의 사용{}안에 숫자가 없으면 순서대로 format 안의 변수들이 순서대로 들어가게 된다.또는 {}안에 숫자가 있으면 인덱스를 나타내고 format안에 인덱스에 맞춰 들어가게 된다. (format의 인덱스 0은 2를 나타내고 인덱스 1은 3을 나타내서 다음과 같이 된다.) 인덱싱과 슬라이싱 인덱싱이란? 각 칸에 숫자를 붙여주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.슬라이싱이란? 칸들 중 일부를 짜르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.슬라이싱을 할 때는 시작점의 인덱스에서 부터 끝나는 칸의 바로 다음칸의 인덱스 까지를 표시해 주면 된다.슬라이싱을 할 때 앞.. 2018. 5. 31.
파이썬(Python)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형 변환 리스트와 인덱싱 -> [] 리스트는 정수형, 문자형 여러개를 묶어주는 역활을 한다.[]을 이용하여 (0)에서 부터 시작해 (리스트의 크기 - 1)까지 요소를 가르킬 수 있다.(인덱싱)-1은 마지막 요소를 가르킨다.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사용하여 여러 차원의 리스트를 만들 수 있다. 튜플 -> () 튜플은 리스트와 다르게 저장된 값을 변경 할 수 없습니다. 딕셔너리 -> {} 키와 값을 연결 시켜 놓은 것 입니다. 형 변환 정수형 변수를 실수 또는 문자 형으로 변환이 가능하다.문자 형을 리스트로 변환도 가능하다. 2018. 5. 31.
파이썬(Python) 자료형(숫자형, 문자형, 불린) 숫자형 C언어와 동일하게 정수,실수,8진수,16진수와 사칙연산을 사용한다."//" 연산은 나눗셈(/) 연산 결과보다 작은 정수 값을 출력한다. (음수인 경우를 조심하자!)"**" 연산은 a의b제곱 연산이다. -> c언어에서는 pow(a,b)로 사용된다. 문자형 문장안에 쌍 따옴표(")와 작은 따옴표(')를 넣기위해 2가지 방법이 있다. 1. 쌍 따옴표 안에 작은 따옴표를 넣는 방법, 작은 따옴표 안에 큰 따옴표 넣는방법 (이 때문에 쌍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같은 역활임에도 불구하고 만든것으로 생각된다.) 2. 역 슬래쉬(\) 사용하는 방법 한 변수 안에 여러 문장을 넣고자 할때 2가지 방법이 있다. 1. 개행문자(\n)을 사용 하는 방법 2. 쌍 따옴표 3개("""), 작은 따옴표 3개(''') 방법 .. 2018. 5. 31.